정관 김복진 탄신100주년 기념 학술대회
“김복진과 그 시대의 작가들”
일시 : (지난)2001년 8월 4일(토) 오후 2시 ~ 6시
장소 : 모란미술관
모란미술관·김복진기념사업회
– 발표주제 및 발표자 –
* 한국 근 middot;현대 아카데미즘조각에 대한 연구 _ 조은정(한남대 대학원 겸임교수)
– 김경승을 중심으로
* 지재불후(志在不朽) _ 최태만(서울산업대 교수)
– 우성 김종영의 예술과 사상
* 윤효중의 전통성과 소재주의 혹은 성공과 실패 _ 윤범모(경원대 교수)
* 월북 조소예술가들 _ 최 열(미술평론가)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-
한국 근·현대 아카데미즘조각에 대한 연구
– 김경승을 중심으로 –
조은정(미술사가, 한남대 대학원 겸임교수)
Ⅰ. 머리말
Ⅱ. 김경승과 근대 조소
1. 조선미술전람회의 시
2. 조선미술전람회 조소예술의 양상
Ⅲ. 해방공간의 조소예술가들과 1950년대의 조소
1. 조선미술건설본부와 해방공간의 조소예술가들 2. 국전의 창설과 1950년대
Ⅳ. 1960~70년대의 4.19기념탑과 기념동상
Ⅴ. 1980년대 이후의 조소
Ⅵ. 맺음말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-
지재불후(志在不朽) – 우성 김종영의 예술과 사상
최태만(미술평론가·서울산업대 교수)
Ⅰ. 지재불후(志在不朽)
Ⅱ. 김종영의 생애와 예술세계
Ⅲ. 추상조각의 형성
Ⅳ. 김종영의 그림에 나타난 작업관
Ⅴ. 결론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-
윤효중의 전통성과 소재주의 혹은 성공과 실패
윤범모(경원대 교수 / 미술사)
시작하면서
윤효중이라는 작가, 그의 성품과 평가
일제 식민지시대와 목조의 한복여인입상
기념동상과 일반작품의 명암
일반작품의 명암
마무리를 지으며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-
월북 조소예술가들
최열(미술평론가)
월북 조소예술가의 행적
월북 조소예술가들의 작품
월북 조소예술가와 미술사의 그늘
댓글 남기기